‘봉달이’ 이봉주의 투혼
잠실대교가 시작되는 35km지점, 나란히 어깨를 맞대며 달리던 케냐의 키루이(당시 27세)가 갑자기 성큼 속력을 내기 시작했다. ‘봉달이’ 이봉주(당시 37세)도 젖 먹던 힘까지 다하며 떨어지지 않기 위하여 안간힘을 다했다. 키루이의 최고기록은 2시간 6분 44초, 이봉주의 최고기록은 2시간 7분 20초, 46초 차이
마라톤에서 35km지점 이후에서의 1m차이는 심리적으로 ‘십리거리’나 마찬가지이다. 만약 나란히 선두 다툼을 벌이다가 한 선수가 10m쯤 뒤쳐진다면 그 선수는 천리만리쯤 뒤쳐진 것 같은 절망감에 빠진다.
한마디로 나란히 선두를 달리다가 한번 뒤쳐지면 그대로 끝이나 만찬가지인 것이다. 이봉주는 키루이가 차고 나가자 즉시 따라 붙었다. 하지만 역시 나이는 어쩔 수 없었다. 1m, 2m, 10m 키루이는 점점 멀어져 갔고 이봉주는 자꾸만 뒤로 쳐졌다. 길가 시민들은 발을 동동 굴렀다.
‘봉달아, 힘내라’ 목이 터져라 외쳤다. 주먹을 불끈 쥐고 허공에 내지르며 “화이팅”을 소리쳤다. 손바닥이 부셔저라 박수를 치며 응원을 하는 사람들도 있었다.
그렇다 이봉주는 40만km쯤 운영한 승용차와도 같았다. 그때까지 16년동안 공식대회 35번 완주는 기네스북에 올라야 할 정도였다. 아무리 세계적인 선수라 하여도 많아야 20번 정도 완주하고 나면 은퇴하기 마련이다.
키이루는 당시 5번째 뛰는 선수였다. 갓 뽑아 길들이기 시작한 새 차나 다름 없었다. 나이도 이봉주보다 10년이나 젊었다.
마라토너에게 35km지점은 ‘삶과 죽음’의 아득한 경계라고 말할 수 있다. 일단 그 경계를 지나면 확실한 것은 아무것도 없다. 가도 가도 사막길, 타는 목마름, 휘청거리는 다리, 터질것 같은 심장, 길은 나타났다가 다시 사라지는 기점.
이봉주는35km지점에서 몸의 바닥까지 와 있었다. 무산소성 역치인 70%를 지났다. 기댈 것은 아무것도 없었다. 지푸라기라도 잡고 싶은 절대절명의 순간 이었던 것이다.
그런데 , 기적이 일어났다. 결승선을 1.575km 를 앞둔 40.62km 지점 한때 30여m까지 떨어졌던 이봉주가 어느새 키루이와 어깨를 나란히 하더니 갑자기 뛰쳐나가기 시작했다. 길가 시민들은 처음에는 자신의 눈을 의심했다. “원 세상에” 모두들 자신도 모르게 박수를 쳤다. 스포츠 세계에서 간혹 일어나는 기적의 순간이었다.
“이봉주 잘한다”
“봉달이, 대한민국”
2007년 3월18일 서울에서 열린 제78회 동아 마라톤 이봉주는 2시간 8분 04초의 기록으로 결승선을 맨 먼저 통과했다. 기적이다. 인간한계를 극복한 최고의 드라마였던 것이다.
해외스포츠중계를 통해서 마라톤을 관람하다보면 결슬선에 가까이 접근했을 때 선수들의 표정에서는 참으로 많은 감정의 교차를 느낀다. 인간적인 아니 동물적인 한계를 머금은 모습이랄까?